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민번호 개편과 기존 주민번호 검증방법
    생활 Etc 2019. 12. 18. 13:45
    2019년 12월 17일, 행정안전부는 '202010월부터 주민등록번호 부여체계를 개편한다'고 발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지역번호 4자리를 없애고 임의번호 부여.
    기존 부여받은 주민등록번호는 그대로 사용.

     

    주민번호 개편

    한국에서 태어난 국민이라면 누구나 받게 되는 것이 주민등록번호(이하 주민번호라 함).

    주민번호는 13자리(생년월일 6자리+성별 1자리+지역번호 4자리+일련번호 1자리+검증번호 1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개편 안은 지역번호를 포함한 주민번호 뒷 6자리를 임의번호 6자리로 변경한다는 내용이다.

    지역번호를 제외함으로써 특정 지역 출신에 대한 차별논란, 생년월일과 출신지역으로 주민번호를 추정하는 문제를 해소할 전망이다.

     

    주민번호 변경사항. 지역번호를 포함한 뒷 6자리를 임의번호로 변경한다.


    기존 주민번호 검증방법

    변경 전 주민번호는 뒷자리 7자리로 다음과 같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 성별(1자리) :

            1 - 1900년대 출생 남자

            2 - 1900년대 출생 여자

            3 - 2000년대 출생 남자

            4 - 2000년대 출생 여자

    • 지역번호(4자리) : 지역번호는 '시도 구분코드 2자리 + 읍면동 주민센터 고유번호 2자리'로 이루어져 있다.

            00~08 : 서울

            09~12 : 부산

            ...

            92~95 : 제주

    • 신고순서에 따른 일련번호(1자리)

    • 검증번호(1자리) : 검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① 주민번호 앞부터 12자리(지역번호까지)까지 각 자리를 2~9까지 곱한다.

            ② 나온 숫자를 모두 더한다.

            ③ 더한 숫자를 11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④ 11에서 나머지를 뺀 숫자가 검증번호이다.

     

    주민번호 검증 공식에 따르면 마지막 검증번호는 '6'이 나온다.

     

    이 공식은 홈페이지나 앱에서 주민번호 입력이 필요한 회원가입 페이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 주민번호가 개편이 되면 검증번호가 어디에 위치할 모르겠지만, ‘일련번호 6자리 끝자리에 검증번호를 넣지 않을까?추측해 본다. 아니면 모든 주민번호 검증은 정부기관 서버를 통해서만 할까?

     

    기존 사이트를 크게 개편하지 않으려면 일련번호 5자리 + 검증번호 1자리로 구성하여, 위 공식을 그대로 사용할 것이고, 아니면 회원가입을 하는 사이트마다 2중으로 체크하는 코드를 짜야한다. 물론 2020년생의 주민번호 검증은 몇 년이 지나야 필요하겠지만 말이다.

     


    현재 주민번호를 사용하는 시스템들의 추가 변경 비용이나 사회적 혼란을 막기 위해 생년월일, 성별은 유지하되 지역번호를 폐지하는 방안으로 최종 결정했다고 한다.

     

    어떤 정책이든 IT 시스템을 변경한다면 비용을 동반하기 마련이다.

    과거 새 주소 사업 때 구주소만 가진 홈페이지를 유지보수나 비용 책정 없이 신주소를 추가할 때처럼 개발자를 무비용으로 고생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되기를 희망해 본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