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
-
[코틀린] 03.Kotlin/Native - 첫 컴파일과 숫자야구 게임안드로이드/코틀린 2019. 12. 2. 14:54
이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IT 용어 정리. compile (컴파일)은 (주로 영어단어로 이루어진)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소스(if, for, ...)를 컴퓨터가 알 수 있는 기계어(01000010, 10011000, ...)로 번역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번역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compiler(컴파일러)라고 한다. 윈도우의 폴더 (folder)는 디렉토리 (directory)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이전 블로그에서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코틀린 소스를 컴파일 할 수 있는 Kotlin/Native를 설치 해 보았다. 2019/11/28 - [안드로이드/코틀린+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코틀린] 01.소개와 맛보기 2019/11/28 - [안드로이드/코틀린+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
[코틀린] 02.Kotlin/Native - 설치하기안드로이드/코틀린 2019. 11. 28. 18:16
이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IT 용어 정리. Kotlin/Native (코틀린/네이티브)는 윈도우나 맥OS 같은 운영체제에서 가상 머신 없이 바로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들어 준다. 컴퓨터에서 네이티브(native)는 특정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서 그대로 실행 되는 것을 의미한다. LLVM (엘-엘-브이-엠)은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의 크리스 래트너(Chris Lattner)가 2000년에 쓴 석사 논문에서 출발한 프로젝트로 원래 저레벨 가상머신(Low-Level Virtual Machine)의 약자였으나, 프로젝트가 확장되며 이 용어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LLVM 자체가 프로젝트의 정식 명칭이 되었다. Kotlin/Native는 LLVM 방식을 사용 한다. Gradle (그래들)은 Groovy를 이용..